레이블이 Snapdrag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Snapdrag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Qualcomm CEO, Apple iPad가 Smartbook을 죽였다.

 Qualcomm의 CEO Paul Jacobs는 이번주에 있었던 자사의 IQ 컨퍼런스 2010 행사에서 Smartbook1이 들어갈 틈새 시장에 iPad같은 타블렛 제품이 대신 자리 잡고 있다며, 그로 인해 Smartbook이 죽었다고 말했습니다. Jacob은 석판(Slate)같은 iPad가 Smartbook이 초기에 약속한 "하루종일, 언제나 동작하는 기기"라는 개념을 전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확히는 iPad가 Smartbook을 죽였다기 보다는 Apple의 iPad의 등장이후, iPad의 성공을 따라하고자 하는 여러 업체들이 대거 유사한 타블렛 제품을 선보이면서, Smartbook 제품을 내놓지 않아 죽어가고 있다는 것이 맞는 말이겠지만요.

 넷북용 OS로 여겨졌던 Google OS도 정작 넷북(또는 Smartbook)이 아닌 타블렛 제품이 먼저 나올 것이라는 소식이 최근에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분명히 기존 넷북이나 Smartbook이 차지하던 시장을 타블렛 제품들이 대체하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이렇게 Smartbook이 타블렛 제품에 의해 고사되고 있는 상황은 심지어, 출시 예정이던 Smartbook 제품을 연기/취소시키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Lenovo의 Skylight겠죠. 올해 4월에 출시 예정이던 Skylight는 돌연 5월로 연기한다고 발표 이후 전혀 언급이 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죠.

Lenovo의 첫번째 Smartbook이었던 Skylight. 하지만 출시되지 못했다.


 그밖에도 최근에 열린 전시회 등에 출품된 각 업체의 제품들을 봐도 Smartbook 제품대신 i-Pad를 겨냥한 타블렛 제품들 뿐입니다. 지난주 독일에서 열린 IFA에서도 Toshiba의 AC100정도 눈에 띌까 Smartbook 제품들은 거의 보이질 않았다고 하죠.

Toshiba의 Samrtbook인 AC100. nVidia의 Tegra2칩을 쓰고 있다. 타블렛 제품인 Folio 100과 같이 공개되었다.


 일부 Atom을 쓰는 제품을 제외하곤 Apple의 iPad를 포함해 최근에 나오거나 나올 예정인 대부분의 타블렛 제품들은 ARM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타블렛 제품과 Smartbook의 H/W적 차이는 키보드가 달려 있느냐, 아니면 멀티 터치 화면을 가지고 있느냐 정도가 가장 큰 차이가 있을뿐이죠.(개중엔 타블렛 노트북같이 키보드와 멀티 터치 화면을 모두 갖춘 중간형태의 제품도 있으니 사실상 구분은 의미가 없는건지도 모르죠.)

 그런 이유로, Qualcomm은 자사의 칩을 가지고 OEM업체들이 어떻게 사용하던지 상관하지 않는다며, 2011년 1분기에 생산되는 타블렛 제품에 자사의 1.5㎓ 이상 Snapdragon 모델을 사용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히기도 한 상황이죠.

 최근 대세가 멀티 터치 기술임은 부정하지 못할 듯 합니다. 그것을 PC에 도입한 타블렛 또한 바람이 상당하겠죠. 하지만, 그로 인해 시장에서 키보드를 탑재한 제품들이 점차 줄어들게 되는 점은 매우 아쉬운 상황이라고 하겠습니다.

 모든 것을 터치로 해결한다는 SmartPhone에서도 여전히 QWERTY자판의 매력이 유효한 것 처럼 키보드를 달린 제품들이 완전히 사라지는 일은 당분간은 없겠지만 말이죠.

[1] Smart Book ; ARM칩을 CPU로 사용하는 넷북의 종류. Intel의 Atom을 쓰는 넷북보다 전력소비가 적어 배터리 사용시간이 길다.

과연 넷북에 뛰어드는 업체는 몇곳이나 될까요?

 Intel이 Atom 프로세서를 출시하면서 개척한 넷북 시장은 기존 노트북 시장은 물론이고 PC등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은 아실겁니다.

 실제로 전세계가 불황인 상황임에도 Intel은 다른 부분에선 감소하고 있지만 Atom프로세서의 판매량 증가로 전체 수익이 상승했음을 밝히기도 했죠.

 이쯤 되면 이 넷북이라는 매력적인 시장을 탐내고 있는 업체가 한 두 곳이 아니겠다라는 생각하게 되는데요.

 일단 예상할 수 있는 곳은 사실상 독점(?)해왔던 초저전력 저성능(!) CPU시장을 Intel이 Atom을 출시함으로 인해 사실상 빼앗길 운명에 처한 VIA.

그리고, Intel하면 떠오르는 x86 CPU계 맞수인 AMD 등 정도는 기본적으로 떠올릴 겁니다.
(AMD는 넷북이 아니라 "Mini 노트북"이라고 말하지만)


 좀 더 아시는 분이라면 Atom이 지향하는 분야 중 하나인 모바일쪽을 장악하고 있는 ARM의 넷북 시장 진출 선언을 떠올릴수도 있을  겁니다.

 이 정도는 넷북용 CPU을 차지하려는 업체이고, CPU를 받쳐주는 플랫폼쪽은 어떨까요?

 먼저 VIA와 함께 개발하려고 했지만 여러사정으로 독자적으로 플랫폼을 발표하려고 하는 nVidia가 있겠죠.

 AMD쪽이야 처음부터 Congo, Yukon등의 플랫폼 개념으로 나가니 끼어들 틈이 없지만
Intel쪽은 Atom의 짝인 945칩셋의 성능에 불만이 있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면 공략하기 쉽겠죠.

 게다가, Centrino 플랫폼에 대한 대대적인 홍보로 다른 업체가 끼어들 여지를 봉쇄한 노트북 시장과는 달리 넷북 시장은 아직 크게 플랫폼을 부각하지 않은 상황이죠.

 그러나, Intel 945칩셋의 약한 성능을 보완할만한 칩셋을 선보일 생각이겠지만 지금까지 nVidia의 칩셋 제품들은 보통 전력소비가 큰 편이라는 평가라 지배적이라 저전력을 추구하는 노트북 시장 중에서 가장 전력소비가 적어야하는 넷북 시장에서 얼마나 선전할 수 있을지가 관전 포인트겠죠.

일단 ARM도 Atom에 맞서 넷북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니 넷북용 플랫폼이 필요하겠죠.

 ARM의 넷북 플랫폼 중에서 가장 제 눈에 띄는 것이 국내에선 휴대폰 CDMA 칩으로 잘 알려진
Qualcomm의
Snapdragon이네요.


biz-qcomm.jpg

이미지출처 : www.signonsandiego.com

Qualcomm의 Snapdragon를 채용한 넷북

일단 알려지기론 Snapdragon을 채용한  넷북은

 ARM 11기반의 1㎓이상의 CPU와(아마 듀얼코어 CPU인 1.5㎓의 QSD8672를 사용할듯)
통신전문인 Qualcomm답게 3G /HSPA+등의 무선지원과
GPS, 블루투스, WiFi 내장과
1440x900이상의 해상도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OS는 Linux와 Windows Mobile을 사용하죠.

 nVidia의 Tegra도 ARM11기반임을 감안하면 ARM 기반 넷북이 시장에 안착할 가능성이 보인다면
Tegra의 클럭을 키워서 Intel이나 VIA용 플랫폼이 아닌 넷북시장에 직접 진출하는 것도 생각해 볼수도 있겠죠.



 지난번 글에 이어 또 한번 넷북에 대한 끄적인 글입니다.
 전세계적인 불황인 상황에서 대부분의 업종에서 수익이 나지 않는 상황이지만
수익을 내고 있는  이 넷북시장에 뛰어들  업체가 더욱 늘어나지 않을까 싶네요.

 각 링크는 Atom과 경쟁할 제품에 대한 기사나 해당 기사니 관심있으시면 방문해 보세요.